아파트를 알아보실 때 가장 많은분들이 알아보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서비스 면적이라고 할 수 잇는데요. 아무래도 우리나라 같은 경우 공급가로 형성이 되어 있어서 용적률, 건폐율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분양 크기 대비 큰 평수 공급을 받을 수 있는 방식으로는 서비스 면적 포함을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목차
①아파트 서비스 면적이란 무엇일까
②서비스면적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③발코니가 왜 서비스 면적인가요
④아파트 서비스면적 정확히 어디까지
아파트 서비스 면적이란 무엇일까
아파트 서비스 면적은 아파트 내부에서 추가적으로 제공이 되는 공간이라고 보시면 돼요.
서비스 면적은 대표적으로 베란다, 발코니, 테라스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공간은 2가지로 구분이 됩니다.
- 공용 면적 : 계단, 복도, 주차장
- 전용 면적 : 거실, 화장실, 방
공용 면적과 전용 면적은 계약 시 별도로 명시가 되지 않는 경우가 비일비재합니다.
서비스면적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서비스 면적은 건축물대장(전유부) 건물 현황도를 발급 받아서 보실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확장형 아파트라고 할 지라도 발코니 부분은 전용면적에 산입을 하지 않는 서비스 면적이죠.
발코니가 왜 서비스 면적인가요
서비스 면적은 전용면적에서 포함이 되지 않는 면적 중 주거자가 활용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해요.
발코니는 생활 공간이 아니라지만 주거자가 다양한 용도로 활용을 할 수 있는 공간이죠.
발코니는 법적으로 실내 공간이 아닌 실외 공간으로 분류가 되며, 이는 건축법 규정에 따라서 용도 및 구조상 전용 면적에 포함이 되지 않아요.
따라, 발코니는 생활 공간에 직접적으로 포함이 되지 않으면서 주거자가 활용할 수 있는 부수적인 공간이기에 서비스 면적으로 분류 됩니다.
아파트 서비스면적 정확히 어디까지
"아파트에서 서비스 면적은 정확히 어디까지인가요?"
공동주택=아파트 에서 서비스 면적은 발코니 부분만 사실 서비스 면적이라고 합니다.
단, 발코니 또한 거실 전면에서 1.5m 이상 넘어가는 부분은 전용면적으로 계산이 되는데요.
- 드레스룸, 파우더룸, 알파룸, 전실, 현관, 대피공간, 다용도실 등 = 전용 면적
- 발코니 = 베란다 = 1.5m 안쪽 부분까지 서비스 면적
이렇게 생각하시면 아파트 서비스 면적을 확인하시는데에 분명 도움이 되실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잘 모르는 사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룸 월세 중도에 해지할 시 및 중간에 나가면 위약금 발생하나요? (0) | 2025.02.05 |
---|---|
월세 1년 계약 파기할 시 어떤 일들이 발생할까? 애초에 가능은 할까 (0) | 2025.02.04 |
빌라는 왜 아파트에 비해 가격이 잘 안오르는 이유는 뭔가요? (0) | 2025.02.04 |
오래된 빌라 매매할 때 이것만은 꼭 알고 하시길 바랍니다 (0) | 2025.02.02 |
신축이든 뭐든 빌라 매매 하면 안 되는 이유 많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0) | 2025.02.01 |
집팔때 내야하는 세금은 어떻게 계산을 해야 하나요? (아파트) (0) | 2025.01.31 |
부동산 가압류 및 압류 신청 및 후에 경매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죠 (1) | 2025.01.31 |
부동산 경매 진행되는 소요기간에 대해서 알아가세요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