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나 매매나 부동산을 통해서 집을 볼 때 봐야할 것들이 생각보다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집을 보는 사람들은 어떤것들을 봐야하는 지 잘 모르시곤 합니다. 그래서 대부분은 방의 크기나 거실 혹은 채광이 잘 들어오는지 정도만 알아보죠.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집 볼때 봐야할 것은 어떤것들이 있는지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①관리비 및 부가적인 비용 파악
②체감 면적과 실제 면적
③등기부등본을 파악하세요
④층간소음 및 외부소음 파악하자
관리비 및 부가적인 비용 파악
이게 생각보다 중요해요. 관리비 및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비용들에 대해서도 파악을 해두시는 게 좋은데요.
부동산을 통해 혹은 개인간의 거래라 하더라도 내가 알아보려고 하는 매물의 기타 비용이나 관리비에 대해서 꼭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아무래도 관리비 및 부가비용이 얼마정도 발생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야 예산을 계획하기에도 쉽죠.
간혹 관리비가 적어보인다고 생각을 하시겠지만 관리비 이외에도 부가적인 비용들도 알아보면 생각보다 많은 지출이 발생한다는 걸 알 수 있을거에요.
체감 면적과 실제 면적
"분명히 제가 알아볼 때에는 전용면적이 5평정도 된다고 하는데 책상이랑 침대를 배치하니 발 디딜 틈이 없네요"
이런 경험을 해보신 적 있을거에요. 이건 단순 착각이 아니라 실제 체감 면적과 계약서에 기재되어 있는 평수 사이에는 큰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어요.
면적에는 전용면적과 공급면적 그리고 계약면적 이 3가지가 있는데요. 전용면적이 가장 현실적인 지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부동산 플랫폼 및 중개사에서는 아쉽게도 공급면적을 기준으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보니 실제 체감 면적이 조금 다를 수 있죠.
등기부등본을 파악하세요
부동산을 계약하시기 이전에는 등기부등본을 되도록이면 꼭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등기부등본은 아실진 모르겠지만 내가 계약하려고 하는 매물의 가압류나 근저당이 있는지 혹은 집주인의 명의가 제대로 맞는지를 알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서류라고 할 수 있는데요.
특히 월세는 모르겠지만 전세 집을 알아보는 경우에는 근저당이 많은 집은 생각보다 위험할 수 있어요.
그래서 등기부등본은 인터넷을 통해서도 발급을 받을 수 있다만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 위해서는 부동산 중개인의 도움을 받아보는 게 좋겠죠.
그래서 자세하게 알아보고 싶으신분들은 부동산 중개인에게 등기부등본을 정확하게 알고싶다고 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을겁니다.
층간소음 및 외부소음 파악하자
사실 개인적으로 저는 이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요즘 또 층간소음에 대해서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죠?
실제로 부동산을 계약한 후 가장 많이 후회를 하는 부분 중 하나가 층간소음 및 외부소음이에요. 층간소음이 있는지 알아보실 때 주의하셔야 할 점은 낮에 조용하다고 해서 밤도 조용한다는 법은 없어요.
즉, 본인이 집 보러가는 시간대가 주변도 조용한 시간대인 경우가 비일비재하며, 특히나 새벽 시간대나 저녁시간에 소음이 심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관련 글
이외에도 알아보면 좋은 부동산과 관련된 정보들은 다양하게 있습니다
'잘 모르는 사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세 가계약 파기 위약금 정말로 내야하는거에요? (1) | 2025.07.16 |
---|---|
월세 가계약금 얼마가 적당한가요? 적정선은 어느정도일까 (0) | 2025.07.11 |
월세 잔금 언제 주는 게 맞는건가요? 집주인마다 달라지는 기준 (0) | 2025.07.11 |
컨테이너 보관창고 비용 한 달에 얼마정도면 적당한건가요? (1) | 2025.07.10 |
한달살기 숙소 구하기 부동산보다 더 잘 아는 방법들이 궁금하다고요? (4) | 2025.07.10 |
장기렌트카 조기 반납 업체에서 말해주지 않는 이야기 (0) | 2025.07.09 |
렌트카 픽업 늦으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업체마다 대처가 다릅니다 (0) | 2025.07.08 |
부산 렌트카 하루 비용 진짜 이정도 가격에 이용이 가능한가요? (당일) (2) | 2025.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