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혹 법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여 법원에 가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물론 어긋나는 행동을 하지 않았더라도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최소한 한 번 쯤은 법원으로부터 서류를 받아보신 적 있을거에요. 하지만 사건번호를 모르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건번호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대한민국 법원 공식 웹사이트에 방문을 하시면 됩니다.
목차
①법원 사건번호 모를 때에는
②ARS로 사건번호 파악
③대법원 공식 웹사이트 활용
④법원 사건번호 계속 조회가 안돼요
법원 사건번호 모를 때에는
내 법원 사건번호를 모를 때 알아볼 수 있는 방식으로는 정말 다양하게 있습니다.
물론, 법원 사건 번호를 알고 있다면 내 사건의 진행 상황을 찾는것은 굉장히 간단하지만 모른다면 조금 복잡하긴 하죠.
ARS로 사건번호 파악
ARS 전화번호인 1588-9100으로 전화를 하시면 나의 사건번호 파악이 가능하실거에요.
법원 업무와 관련 된 혹은 사건번호 조회에 대해 궁금한 사항들은 ARS 서비스를 통해 해결이 가능하죠.
상담이 가능한 시간대는 오전 9시부터 시작해서 오후 6시까지 운영이 되는데요.
직원이 사건 번호 혹은 기타 법원과 관련되어 있는 문제에 대해서 안내를 제공받아 보실 수 있을거에요.
대법원 공식 웹사이트 활용
대법원 전자소송 시스템 웹사이트를 통해 내 사건번호를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사건 번호를 모르는 경우에는 인증서를 이용해 사건번호를 파악할 수 있는데요, 주민등록번호 및 인증서 기반으로 본인임을 인증하고 사건을 파악하는 절차죠.
대법원 공식 웹사이트 사건번호 조회 순서
- 주민등록번호 입력 : 인증서를 이용한 검색 방법에 주민등록번호 입력
- 인증서로 검색 :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인증서를 통해 본인 확인 절차 진행
법원 사건번호 계속 조회가 안돼요
"이렇게 했는데도 사건번호가 안 나오는데 이건 뭔가요?"
사건이 어느정도 진행이 되었는지 알고싶어 그대로 했음에도 계속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어요.
검찰송치결정은 아직 기소가 되었는지 여부는 나오지 않은 상태일수가 있습니다. 또한, 법원에서 아직 기소가 되지 않은 사건은 검색이 안될 수 있죠.
물론, 자세한 건 전문가와 상담을 받아보시거나, 형사포털에서 사건을 검색해보시길 바랍니다.
관련 글
'잘 모르는 사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장학재단 채무자 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1) | 2025.01.04 |
---|---|
전기요금 신용카드 납부하는 방법은 어떤게 있나요? (자동납부 포함) (2) | 2025.01.04 |
토스 송금 취소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0) | 2025.01.03 |
10년 혹은 20년 지난 진료기록 조회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2) | 2024.12.31 |
주거급여 탈락 기준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현장조사 포함) (1) | 2024.12.28 |
중소기업확인서 발급 소요시간은 어떻게 되나요 ? (유효기간 포함) (1) | 2024.12.27 |
차량번호 과태료 조회 제일 간단하게 해보세요 | 언제부터 조회가 가능할까 (1) | 2024.12.22 |
동물등록번호 분실 및 모를 때 어떻게 해야 알 수 있을까요? (1) | 202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