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거에 내가 진료를 받았던 기록이 궁금하거나, 회사 혹은 보험회사에 제출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곤 합니다. 아마 대부분은 보험을 청구하기 위해서 진료 기록이 필요할 수 있는데요, 과거 진료 기록을 알 수 있는 방식은 되게 간단합니다.

 

유료가 아닌 무료로 10년 전에 내가 진료를 받았던 기록을 온라인으로 알아보실 수 있죠.

 

 

목차

 

①10년전 진료기록 조회는 어디서

 

②정부24 사이트 활용하기

 

③건강보험 심사평가원 활용

 

④진료기록 보관기간 10년 지나면

 

10년전-진료기록-조회-썸네일

 

 

10년전 진료기록 조회는 어디서

 

 

 

 

10년전에 보았던 진료기록은 생각보다 그리 어렵지 않게 온라인으로도 볼 수 있어요.

 

그동안에 본인이 방문을 하였던 병원 및 약국에서 진료를 받은 내역들을 한 번에 조회를 할 수 있어 편리하죠.

 

다양한 방식들이 있으니 본인이 편한 방식으로 조회를 해보시면 될 것 같아요.

 

정부24 사이트 활용하기

 

정부24사이트

 

정부24를 통해 본인이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내용을 조회해보실 수 있습니다.

 

조회일 기준 14개월 전 진료일부터 시작해서 1년간의 진료 내용을 확인해보실 수 있죠.

 

정부24 사이트 조회 순서

  • 정부24 진료받은 내역 확인 페이지로 이동
  • 주민등록번호, 성명, 인증문자 입력
  • 본인확인을 통해 인증 진행
  • 조회하고 싶은 기간 설정 및 조회

 

진료를 볼 수 있는 항목으로는 진료개시일, 처방회수, 본인부담금, 약국이름, 공단부담금, 진료형태, 방문일수 등이 있습니다.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활용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는 정부24와 다르게 5년간의 병원기록을 조회 해보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병원기록을 알아보실 때 가장 상세하게 많은 정보를 알아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죠.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조회 순서

  1. 내 진료정보 열람 이동
  2. 나의 주민등록번호에서 원하는 인증 방식으로 인증
  3. 보험종별 건강보험, 보훈, 의료급여 체크
  4. 전체 병의원 혹은 약국 체크
  5. 조회하고 싶은 기간 설정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병원 및 약국의 이름과 건강보험 혜택을 받은 금액, 진단과, 주상병명, 내가 낸 의료비, 입원 일수, 총 진료비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진료기록 보관기간 10년 지나면

 

 

"일반적으로 진료기록 보관기간 10년 지나면 어떻게 하나요?

 

 

병원 입장에서 보면 종이가 사라지며, 디지털로 바뀐 상태다 보니 굳이 없앨 필요는 없다고 보여집니다.

 

즉, 몽땅 보관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네요.

 

그래야지만 아주 오래전 기록부터 해서 환자의 상태가 변화하는 걸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에요.

 


관련 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