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 대부분은 경제적인 이유든 뭐든 월세로 원룸에서 거주하실거라 생각을 하는데요. 새로운 집으로 이사가거나, 처음 월세를 계약하시는 분들 중 불가피한 상황 혹은 다른 매물에 관심이 있어 입주하기 전 계약을 파기하는 경우가 있어요.
요즘은 공실이 많아 잘 알아보시면 원룸의 좋은 매물을 찾아보실 순 있을거에요.
목차
①월세 입주하기 전 계약 파기하면 어떻게 될까
②그럼 복비 즉 중개수수료는 어떻게 되나요
③계약금과 복비를 내야만 해지가 가능할까
월세 입주하기 전 계약 파기하면 어떻게 될까
"월세를 계약했는데 매물이 갑자기 마음에 들지 않아 입주하기 전 파기했어요"
네, 어떻게 되냐고요? 계약을 파기하면 일단 계약금은 돌려받을 수 없을거에요.
이 이외에 다른 추가 위약금 같은 건 없는데요, 만약 본인이 계약금 10만원을 내고 월세를 선불로 50만 원 낸 경우라 해도 마찬가지에요.
즉, 50만 원 다 돌려받을 수 없을겁니다.
그럼 복비 즉 중개수수료는 어떻게 되나요
"그럼 복비 즉, 중개수수료는 어떻게 되는건데요?"
공인중개사법에 따르면 개업공인중개사의 고의,과실이 없는 경우에는 중개의뢰인은 중개보수를 부담하셔야 합니다.
만약 계약서를 작성했다면 부동산에서 중개보수 청구를 할 수 있는데요,
계약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임차인이나 임대인 사정으로 계약을 파기할 시 중개보수지불에 대한 조항이 적혀있죠.
계약금과 복지를 내야만 해지가 가능할까
"계약금과 복지를 내야만 해지가 가능한거에요?"
네, 아마 그러실거에요.
집주인하고 합의해제해서 계약금을 돌려받는 게 최선이겠지만 집주인과 합의가 잘 되지 않으면 계약금과 복비를 포기하셔야 해요.
따라서 중개사와 집주인하고 이야기를 잘 해보는 방안밖에 없을것으로 보여지는데, 현실적으론 계약금과 복비는 내야 할 겁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잘 모르는 사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못 알고 있는 주민세 사업소문 면제 대상 핵심만 알려줄게요 (0) | 2025.02.25 |
---|---|
왜 사람들이 부동산 전자계약 안하는 지 이유를 모르신다고요? (0) | 2025.02.25 |
주말에 이사하는데 잔금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0) | 2025.02.20 |
궁금한데 빌라 관리비 평균적으로 얼마정도 하나요? | 다세대 신축 (0) | 2025.02.20 |
사회초년생 신차 vs 중고차 어떤 게 더 좋은지 모르겠다면 (0) | 2025.02.20 |
고향사랑기부제 세액공제 환급 지금 다들 잘못 알고 있는데요? (0) | 2025.02.19 |
빌라 관리비를 안 내면 및 미납 시 어떻게 받아내야 하나요? | 오래된 (0) | 2025.02.19 |
월세 현금 영수증으로 인해 집주인이 불이익을 받나요? 거부할 시에는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