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보증보험은 전세로 집에 들어갈 때 혹은 집을 구할 때 많이들 알아보는 보험 상품이에요. 아무래도 공인중개사분의 말만 믿고 계약을 하셨다가는 전세보증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보니 걱정이 되시는 분들이 많이들 알아보죠.
전세보증보험은 임대보증금을 반환하지 않을 때 책임을 지는 보험 상품입니다.
목차
①전세보증보험 연장 정보
②전세보증보험 연장 조건
③언제 연장 신청을 해야할까
④거절 되는 경우도 있어요
⑤전세보증보험 연장 QNA
전세보증보험 연장 정보
가장 우선적으로 전세보증보험 연장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두실 필요가 있습니다.
전세보증보험 연장은 기존에 있던 전세보증보험의 계약 기간이 만료되기 전 보증기간을 연장하는 걸 의미하고 있어요.
보통 전세 계약 기간의 경우 2년이지만 계약이 만료가 되는 시점에 세입자와 집주인이 재계약을 원할 경우 이를 대비해 보증보험 기간도 함께 연장하는 것이 중요하죠.
전세보증보험 연장 조건
전세보증보험 연장 신청을 한다고 해서 모두 다 연장이 되는것이 아니라 조건이 필요합니다.
- 대항력과 우선변제권 유지
- 갱신 신청기한 준수
- 전세금 증액시 보증한도 등 가입조건 준수
- 증액 된 전세금에 관한 우선변제권 취득
아무래도 가장 중요한 조건은 신청기한을 지켜주셔야 한다는 점이겠죠?
언제 연장 신청을 해야할까
전세계약을 연장함에 따라 전세보증보험의 보증도 계속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연장을 별도로 신청을 해주셔야 합니다.
아무때나 신청하는 것이 아닌 기간이 있는데, 보증기간 만료일 전까지 해주셔야 해요.
보증기간은 보증서 발급일로부터 전세계약 만료일 후 1개월까지라고 보시면 돼요.
따라서 전세계약이 갱신 되셨다면 전세계약 만기 후 1개월이 경과하기 전까지 전세보증보험 보증 기간의 갱신을 신청해주시는 게 좋아요.
거절 되는 경우도 있어요
- 이사 등으로 우선변제권 및 대항력 상실
- 전세계약 갱신하면서 전세금 증액하기로 한 경우
- 주택 가격이 하락하면서 보증 한도가 하락해 증액 된 전세금 총액 보증한도 초과
- 보증기간 만료일 이후 전세보증보험 갱신일 신청 한 경우
거절이 된 경우에도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하니 너무 낙담하지 않으셨으면 좋겠네요.
전세보증보험 연장 QNA
- Q. 전세보증보험 연장 비용이 발생할까요
A: 처음 보증보험 가입하실 때 보증기관 방문 신청을 하셨던 것 처럼 방문해 연장 신청하시면 되는데요. 비용은 똑같이 보증료를 납부해주시면 됩니다.
- 계약 연장 후에도 가능할까요?
전세 계약 기간중에만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하며, 계약이 종료된 후에는 가입이 불가능해요.
- 전세보증보험 단기로도 가능한가요?
전세보증보험 연장은 단기로도 가능합니다. 단, 보험회사나 계약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걸 인지하시길 바랍니다.
관련 글
'잘 모르는 사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 불이익이 있을까? 있다면 어떤 게 (2) | 2024.12.02 |
---|---|
베트남 환전 팁이라는 게 있을까요? 얼마나 해가야 하는걸까 (0) | 2024.12.02 |
결정세액 0원 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연말정산 시 알아두면 좋은 (0) | 2024.12.01 |
토스 환전 수수료 우대 시간은 언제일까요? 알아두면 정말 좋아요 (1) | 2024.12.01 |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늦게 신청해도 상관 없을까요? (1) | 2024.11.30 |
공동명의 단독명의로 변경할 때 비용은 얼마 발생하나요 ? (3) | 2024.11.30 |
아파트 매매 중도금 없이 진행해도 상관 없을까, 꼭 있어야 하는건가? (0) | 2024.11.30 |
청약통장 이자 확인 및 계산 언제 받아볼 수 있는건가요 ? (0) | 2024.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