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꿈에 그리던 아파트를 계약했지만 한 가지 걸리는 점이 있습니다. 바로 취득세죠. 취득세는 아시다시피 주택을 매매할 때 발생하는 세금인데 만약 납부하는 방식을 잘못 설정하셨다면 예상치 못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아파트 취득세는 다양한 방식으로 감면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목차
①아파트 취득세 분할납부 가능한가
②아파트 취득세 분할납부 조건
③카드로도 분할납부 가능할까
④그렇다면 분할납부 신청은 어떻게

아파트 취득세 분할납부 가능한가
"저 급한데 아파트 취득세 분할납부 가능한가요?"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자격에만 충족된다면 아파트 취득세를 분할납부 하실 수 있습니다.
분할납부 제도는 취득세를 일시불로 납부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분할해 납부할 수 있게끔 해주는 제도죠.
분할납부의 경우 세금을 최대 3년 동안 분할을 하여서 납부를 하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파트 취득세를 분할납부 하려면 어떤 자격이 필요하게 될까요?
아파트 취득세 분할납부 조건
- 취득대상이 신축 건물 혹은 개보수가 완료되지 않은 건물
- 취득가격이 6억 원 이상인 주택 혹은 상가 (음식점, 소매업 등)
- 취득세 납부 기한이 만료된 후에 3개월 이내 신청
- 취득자가 법인이나 개인으로서 취득 목적이 자가 거주 혹은 사업장 사용
이같은 자격을 갖추어야지 아파트 취득세를 분할납부 할 자격이 주어지게 됩니다.
카드로도 분할납부 가능할까
"그럼 카드로도 분할납부가 가능한가요?"
네, 카드로도 분할납부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직접 카드로 결제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럼 어떻게 결제를 해야하느냐? 바로 카드사와 제휴가 된 세금 납부 대행 서비스를 이용하셔야 하죠.
한 마디로 세금납부 대행 서비스를 통하여 카드 결제를 간접적으로 진행을 하시는거라 보시면 돼요.
카드사마다 분할납부 가능한 기간과 수수료율 등이 다르기에 각 카드사 홈페이지에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분할납부 신청은 어떻게
"그래서 아파트 취득세 분할납부는 어떻게 신청하는건데요?"
분할납부 신청하는 건 그렇게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카드사 설정 및 분할납부 조건 확인하기
가장 우선적으로 본인이 이용하고 있는 카드사가 세금납부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알아보셔야 합니다.
카드사 고객센터 혹은 홈페이지르 통해서 분할납부 가능 기간, 수수료율, 최대 납부 가능 금액 등을 자세하게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아무래도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조건을 제공해주는 카드사를 설정하시는 게 중요하겠죠.
- 세금 납부 대행 서비스 신청하기
카드사를 설정한 후 해당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에서 세금납부 대행 서비스를 신청해주시면 됩니다.
신청할 시 납세자 정보, 납부 금액, 납세 번호, 납부 할 세금 종류, 분할 납부 횟수 등 입력해야 하죠.
- 세금 납부 대행 서비스 이용하기
카드사에 세금 납부 대행 서비스 승인이 완료된다면 카드사가 세금 납부 대행을 하게 되는데요. 따라 납세자는 카드사에 분할납부 금액을 납부하시면 되죠.
결론
아파트 취득세를 카드로 분할납부 하는 건 가능합니다. 가능은 하지만 자격 요건에 충족이 되어야지만 분할납부를 할 수 있죠. 즉, 모든분들이 다 아파트 취득세를 분할납부 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잘 모르는 사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카드 잘 안 쓰는데 미청구금액이 정확히 어떤거에요? (0) | 2025.02.13 |
---|---|
급여명세서 안주는 회사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이런 경우 미지급 신고를 (0) | 2025.02.12 |
인턴하는데 근로계약서를 미작성 했습니다 이런 경우에 어떻게 해야해요? (0) | 2025.02.12 |
부가세 카드납부 할부로도 가능한가요? 할 수 있다면 어떻게 (0) | 2025.02.09 |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지나면 혹은 안 하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0) | 2025.02.07 |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이유는 딱 이것 때문입니다 (0) | 2025.02.07 |
타인의 세금을 납부할 시 증여세가 부과된다?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0) | 2025.02.06 |
신용카드 청구할인 확인하는 방법은 뭐에요? + 안됨 간단하게 해결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