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룸에 입주하기 전에 하는 청소를 입주청소라고 부르는데, 입주청소는 생각보다 매우 중요해요. 아무래도 기존에 있던 거주자분이 어떻게 사용했는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먼지와 벌레들이 득실득실 할 수 있다보니 되도록 하는게 위생상 좋겠죠.

 

하지만 입주청소 업체를 이용하는 경우 경제적으로 부담될 수 있다보니 셀프로 청소할 때 하지 말아야 할 실수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①입주청소는 일반 청소와 다르다

 

②셀프청소 할 때 어떤 순서로 해야할까

 

③입주청소를 꼭 해야해요?

 

④셀프 청소를 한다면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원룸-입주청소-셀프

 

 

입주청소는 일반 청소와 다르다

 

"입주청소도 집청소와 똑같은 거 아니에요? 굳이 업체를 불러야하나요"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아요. 아무래도 원룸의 면적이 작다보니 셀프로 충분히 청소가 가능하다고 생각할 수 있죠.

 

근데 현실은 전 거주자들이 짧게는 2~3개월, 길게는 몇 년 기간동안 머물면서 발생한 오염물질이나, 먼지들이 굉장히 많아요.

 

 

그렇다 보니 아무리 원룸의 면적이 작다 하더라도 구석구석 꼼꼼하게 셀프로 청소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천장 구석이나 창틀, 배수구 등이 있는데 전 거주자분들이 신경쓰지 못하고 청소를 잘 하지않는 곳이죠.

 

셀프청소 할 때 어떤 순서로 해야할까

 

"그래도 저는 셀프청소를 하고 싶습니다. 어떤 순서로 해야 효율적일까요?"

 

사실 청소 순서라는 게 상황에 따라 혹은 성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본인이 편한 방식으로 하시는 게 가장 효율적이기는 해요.

 

하지만 대표적으로 많은분들이 청소하는 순서가 있습니다.

 

  1. 가장 먼저 먼지털기 - 천장 구석이나 창문틀
  2. 화장실 청소
  3. 주방 - 가스레인지, 싱크대 청소
  4. 창문 - 유리 닦기
  5. 바닥 청소- 마지막으로 걸레질로 마무리

 

간혹 바닥 먼저 청소하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먼지 털면 어차피 바닥에 다 떨어지기 때문에 먼지 먼저 털고 마지막에 바닥 청소를 하는게 효율적입니다.

 

입주청소를 꼭 해야해요?

 

사실 원룸을 계약하고 처음 들어가보면 생각보다 더럽지가 않아서 굳이 입주청소를 해야하나? 이 생각이 들 수 있어요.

 

현실은 겉보기에는 깨끗해보이긴 하겠지만 전혀 손이 안 댄 경우가 대반수입니다.

 

 

눈에 보인다고 다가 아니기 때문에 사실상 입주청소는 되도록이면 하는 게 맞다고 생각을 하는 편입니다.

 

물론, 청소를 한다는 건 굉장히 귀찮고 번거로우며, 손이 많이 가지만 한 번 하면 그 뒤로는 훨씬 깔끔하고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셀프 청소를 한다면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원룸 오늘 입주하는데 청소업체 안 부르고 셀프로 청소하면 시간이 많이 걸리나요?"

 

네, 아까 말했다시피 원룸이 면적이 적어도 셀프로 구석구석 청소를 하다보면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셀프로 청소하는 경우 피로감때문에 혹은 귀차니즘 때문에 대충 마무리하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아요.

 

꼼꼼히 청소하지 않고 대충 마무리를 하면 굳이 청소를 하는 의미가 없겠죠?

 

그래서 개인적으로 저는 새로 이사를 가는 경우에 셀프로 청소하지 않고, 돈이 들더라도 입주청소 업체를 이용하는 편입니다.

 


관련 글

 

 

 

 

 

 


 

이외에도 알아보면 좋은 원룸 청소와 관련된 정보글들이 되게 다양하게 있어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