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쪽에서 일하시는 분들이라면 잘 아시겠지만, 공사를 계약할 시 지방계약법 혹은 국가계약법에 따라서 공사이행 보증서 또는 계약보증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계약이행보증과 공사이증보행 둘 다 계약에서 보증과 관련되어 있는 개념이지만 차이가 있어요.
국가 공사계약을 체결하실 때에는 계약이행 보증은 중요한 절차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어요.
목차
①계약이행보증이란
②공사이행보증 정보
③그래서 차이점이 뭔데요?
계약이행보증이란
계약이행 보증은 도급을 받은 공사 등 계약체결과 관련을 하여 계약상대자에 대해 부담을 하는 계약보증금의 납무의무를 보증한다고 보시면 돼요.
즉, 계약 당사자가 계약 조건을 충실하게 이행할 것임을 보증하는 제도라고 볼 수 있어요.
이는 아무래도 계약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에 발생 할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한 장치라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주요 목적은 아무래도 계약 위반 시 보증기관이 일정 금액을 지급해 계약 상대방의 손해를 보상하는 것이겠죠.
공사이행보증 정보
공사이행보증은 일반적으로 보통 추정 가격이 300억 원 이상인 최저가 공사에 해당이 됩니다.
발주자로부터 도급을 받은 공사의 계약체결과 관련해 계약 상대자에게 대해 부담하는 계약이행 의무 혹은 일정금액 납부 의무를 보증하죠.
쉽게 설명을 해드리자면, 계약자가 계약 내용을 충실하게 이행을 할 수 있게 보증을 해주는 제도라고 보시면 돼요.
주요 목적은 계약자가 공사를 기한 내 완료를 하며 품질 기준을 충족할 것을 보장하는 게 핵심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그래서 차이점이 뭔데요 ?
먼저 용역 입찰이나 공사에 응하시려면 입창 보증금을 걸어주셔야 합니다.
그 후 낙찰이 되고나서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계약보증금을 걸어주셔야 하죠.
그리고 공사 착공 및 용역을 착수하기 전 까지는 이행보증금 혹은 이행보증서를 제출해주셔야 합니다.
말했다시피 계약자가 계약 이행 도중에 기타 사유 혹은 부도로 공사를 진행하기 어렵다 판단이 될 때 제 3자로 하여금 그 공사 및 용역을 마무리 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 중 하나죠.
관련 글
'잘 모르는 사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공항 새벽에도 택시를 이용할 수 있을까요? 많은 궁금증 모음 (1) | 2024.12.12 |
---|---|
나의 연말정산 환급금이 적은 이유는 이러한 것들 때문입니다 (2) | 2024.12.11 |
상속세 신고 꼭 해야 하는건가요? 가장 많이들 오해하는 진실 (0) | 2024.12.10 |
인테리어 잔금은 언제 내야하는 게 맞을까요? 비율은 어느정도 (0) | 2024.12.10 |
부모 자식간 아파트 및 부동산 명의변경 어떻게 해야할까 세금은 ? (1) | 2024.12.10 |
주식 단타 거래하시는 분들은 수수료 계산 잘 하셔야 합니다 (2) | 2024.12.09 |
주식 손절해도 세금을 내야하나요? 안 팔면 어떻게 될까 (1) | 2024.12.07 |
해외주식 시 세금 신고 안 하면 이러한 일들이 발생한다 (1) | 2024.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