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 주식을 하시는분들이 생각보다 많은데요. 주식을 할 때 가장 걱정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세금입니다. 국내 주식을 이용하시는 경우 내야하는 세금에 종류로는 양도차익에 대한 양도소득세가 있죠. 하지만 양도소득세에 대해 모르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아요.

 

주식 거래를 하실 때 세금을 많이 내시는 분들은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목차

 

①주식 손절 시 세금 내야할까

 

②손절 후 이익이 있다면 세금 부과

 

③손절 후 세금 신고는 필요할 수 있음

 

④주식 손실 혜택이 있을까

 

 

주식-손절-세금-썸네일

 

 

주식 손절 시 세금 내야할까

 

"주식 손절해도 세금을 내야하는건가요?"

 

결론부터 말씀을 드리자면, 수익/손실 상관없이 매도 시에는 0.23%의 거래세가 차감됩니다.

 

수수료는 매수 및 매도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죠.

 

 

손절하는 것도 세금과 관련이 있는데요, 손절을 한 후 세금 문제는 양도소득세와 관련이 있죠.

 

하지만 손절을 해서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양도소득세를 납부하지 않습니다.

 

즉, 손실이 난 거래에 대해서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다는말이죠.

 

손절 후 이익이 있다면 세금 부과

 

손절을 했다 하더라도 남은 이익이 있으시다면 그에 대한 세금을 어쩔 수 없이 부과를 해주셔야 합니다.

 

한 해 동안 주식 A에서 손절을 해 손실을 보았지만, 주식 B에서 이익을 보셨다면 이익에 대한 세금을 부과가 되는거죠.

 

손실의 경우 총 합계를 하여 최종적으로 납부를 해야 할 세금이 결정된다 보시면 돼요.

 

 

손절 후 세금 신고는 필요할 수 있음

 

손절을 한다고 하더라도 세금 신고는 여전히 해야할 수 있다는 건 인지하시는 게 좋아요.

 

주식 양도소득세 신고의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인데요, 본인이 손실을 보았다고 해도 매매 내역을 정확하게 신고를 해주셔야 합니다.

 

 

즉, 손절만 했다고 해서 전혀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것은 아니기에 잘 알아보셔야 해요.

 

주식 손실 혜택이 있을까

 

주식을 매도해 단순 손실이 발생한거라면 세금을 감면해주는 혜택은 없어요.

 

단, 다른 주식 양도소득과 통산해 양도세를 감면하는 효과는 있을 수 있다고 하니 잘 알아보시는 게 좋을거에요.

 

주식 손실에 대해서는 사실 어떠한 감면이라던가 보상은 없지만, 이익이 크게 난 부분과는 상계처리가 가능하실거에요.

 


관련 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