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장 생활을 해보신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상여금에 대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거라 생각이 드는데요. 짧게나마 설명을 드리자면,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근로자분들에게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통상임금 이외 일정한 시기나 조건에 따라 지급하는 금품입니다.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거 이외로 상여금은 아주 간단하게 온라인으로 계산 할 수 있습니다.

 

 

목차

 

①상여금 실수령액 계산은 어떻게

 

②연봉에 상여금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③연봉에 상여금이 포함해서 받는 경우

 

④상여금 실수령액 계산기

 

⑤상여금도 세금을 떼는걸까

 

상여금-실수령액-계산기-썸네일

 

 

상여금 실수령액 계산은 어떻게

 

 

 

 

상여금은 세금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수령액 어느정도 되는지 계산을 해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회사마다 상여금 지급정책과 방식이 다를 수 있는데요, 그 중 상여금이 연봉에 포함이 되어있는 회사와 연봉과는 별도 상여금이 지급되는 회사가 있어요.

 

상여금이 연봉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와, 포함이 되어있는 경우에는 계산하는 방식이 조금씩 상이합니다.

 

연봉에 상여금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연봉이 3,000만원이라는 가정하에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상여금 미포함 월급 : 3,000만 원 ÷ 12개월 = 250만 원
  • 상여금 지급 달의 월급 : 250만 원 + 250만 원 = 500만 원
  • 1년간 총 수령액 : (250만 원 X 10개월) + (500만 원 X 2개월) 대략적으로 3,500만 원

 

연봉에 상여금이 포함해서 받는 경우

 

이 또한 연봉이 3,000만원이라는 가정하에 설명을 드릴게요.

 

  • 상여금 미포함 월급 : 3,000만 원 ÷ 14개월 = 대략 210만 원
  • 상여급 지급 달의 월급 : 대략 210만 원 + 대략 210만 원 = 대략 420만 원
  • 1년 간 총 수령액 : (대략 210만 원 X 10개월) + (대략 420만 원 X 2개월) = 대략 3,000만 원

 

상여금의 200%라는 말은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월급을 2번 더 지급을 해야한다는 의미에요.

 

따라서 1년동안 14번의 월급을 받는것과 비슷하기에 12개월이 아닌 14개월로 계산을 하시면 됩니다.

 

상여금 실수령액 계산기

 

 

 

 

상여금의 실수령을 계산하기 어려우신 분들은 그냥 상여금 실수령액 계산기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현재로서는 상여금만 별도로 계산을 할 수 있는 계산기는 없어요.

 

그래서 🔍월급 계산기를 활용해서 기본 월급 + 상여금을 합산을 해서 계산을 하시면 대략적으로라도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월급 계산기에서는 세전 월급과 근로자수, 전체 공제대상 가족 수와 공제대상 가족 중 20세 이하 자녀, 공제율을 설정하시면 됩니다.

 

계산기

 

본인의 상황에 알맞게 전부 다 기입 혹은 설정을 하신 후 계산을 하시면 지방소득세와, 소득세 그리고 4대보험을 제외한 실수령액을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상여금도 세금을 떼는걸까

 

상여금도 모두 과세대상 근로소득이며, 별도로 세금이 발생하는 건 아니고, 지급 시기나 연말정산 시에 총 급여액에 포함이 되어서 세액이 산출되게 됩니다.

 

즉, 상여금이나 성과금 모두 세금이 발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특히나 상여금의 경우 기존의 소득보다 높은 세율로 원천징수를 하다 보니 더 세금이 높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