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리톡 월세환급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자리톡을 잘만 이용 하신단면 세금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임대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주 특별한 기회일 수 있는데요, 월세도 세금처럼 환급을 받을 수 있지만 신청하는 과정에서 부담감을 느껴 환급 신청을 못하시는 분들이 있어요.

 

 

자리톡 월세환급의 경우 임대 수입에 대해 납부 소득세 그리고 지방세의 일부를 돌려받을 수 있는 정부 프로그램입니다.

 

 

 

 

목차

 

①자리톡 월세환급이 정확히 뭐에요?

 

②자리톡 월세환급 어떻게 신청을

 

③자리톡 월세 집주인 동의 필요할까

 

④집주인이 싫어할 수 있나요?

 

 

자리톡 월세환급 집주인 동의 썸네일

 

 

자리톡 월세환급이 정확히 뭐에요?

 

일단 정확하게 짚고 넘어가보자고요, 🔍자리톡 월세환급은 대한민국의 스타트업 기업 자리톡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월세 납부액에 대한 세액공제의 증빙자료들을 자동적으로 수집한 후, 이를 기반으로 간편하게 월세 환급하는 플랫폼이죠.

 

 

이러한 자리톡 월세환급 서비스는 임차인이 매 월 납부하고 있는 월세 금액에 대해서 무려 최대 17%까지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월세 세액공제 제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죠.

 

 

이 뿐 아니라 다양한 장점들이 있어, 대다수의 임차인분들에게 호평을 받고있는 서비스로, 매 년 수만 명의 사람들이 자리톡 월세환급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자리톡 월세환급 어떻게 신청을

 

 

 

 

자리톡 월세환급 모바일 버전

 

자리톡 월세환급은 PC뿐 아니라 모바일 두 군데에서 모두 진행이 가능합니다.

모바일로 신청하시려는 사람들이 많을 것 같아, 우선적으로 모바일 먼저 설명을 드리도록 할텐데, 먼저 말씀을 드리자면 굉장히 간단해요.

 

 

✅자리톡 월세환급 신청 절차 (모바일)

 

  1. 앱스토어 혹은 플레이스토어에서 자리톡 검색 후 다운로드
  2. 어플 실행 후 임차인(세입자)로 시작 (임대인,중개인이라면 본인에 맞게 설정)
  3. 현재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주소 및 납부일, 금액 상세 입력
  4. 임대인 개인정보를 입력하시고 최종 환급금 확인하기

자리톡

 

자리톡 월세환급 PC 버전

 

 

 

 

PC의 경우 자리톡이 아니라 홈택스를 활용하셔야 합니다. 직장생활 하는 사람이라면 홈택스 한 번쯤은 이용해보셨을거라 생각을 합니다.

 

 

자리톡 월세환급 신청절차 (PC)

 

  1. 홈택스 홈페이지 접속 및 로그인
  2. 상담/불복/고충 메뉴에서 주택임차료 (월세) 현금영수증 발급 신청 이동
  3. 로그인을 하시고 진행

 

홈택스-홈페이지

 

연말정산 기간인 1~2월 혹은 5월 종합소득세에만 신고가 가능하죠.

 

 

자리톡 월세환급 집주인 동의 필요할까

 

아마 여러분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내용 중 하나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집주인의 동의는 필요하지 않아요."

 

간혹가다 임대차 계약서 상 월세 환급을 하지 않겠다는 특약이 있는 상황이 있어요.

 

이러한 경우에는 임대인 본인의 임대 소득을 신고하지 않고 숨기는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거나, 어딘가 찜찜한 게 있다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겠죠?

 

"즉, 집주인에게 연락 혹은 불이익 없이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집주인이 싫어 할 수 있나요?

 

음. 자리톡을 잘 모르고 있는 집주인 분이라면 싫어 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어요.

 

왜그러냐면 자리톡 서비스에 대해서 잘 모르기 때문인데요, 단 자리톡의 편리한 임대 관리 서비스를 이용을 하신다면 집주인이 싫어 할 이유는 없을거라고 생각을 해요.

 

또한, 자리톡을 이용하시면 세입자에 오는 매 월 임대료 관리가 편리하며, 월세 납부 알람까지 받아보실 수 있을겁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