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포스팅은 이직확인서 요청하는 방법과 처리가 되었는 지 어떻게 조회하는지에 대해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도 이미 잘 아시다시피 실업 급여 수급자가 이전에 있던 직장에서 받았던 급여 및 경력 사항들을 증명하기 위한 서류입니다.
실업급여를 신청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실업급여 수급자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직확인서 제출 요청을 하셔야 합니다.
다행히도 이직확인서 처리가 되었는지와 요청하는 건 온라인으로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목차
①실업급여 이직확인서 정보
②이직확인서 유의해야 할 사항
③이직확인서 발급 요청
④이직확인서 발급 여부 확인은 어떻게
이직확인서 요청 및 처리 관련 글
이직확인서 요청 및 처리 정보 이외에도 알아보면 좋은 정보글들은 많이 있습니다.
실업급여 이직확인서 정보
2020년 8월 제도의 개편으로 인해서 실업급여를 수급하려고 하는 퇴사자가 근로를 하였던 회사의 사업주는 이직확인서를 고용센터로 제출을 하셔야 한다는 걸 알고계셔야 합니다.
쉽게 말씀을 드리자면, 사업주는 퇴사자가 실업 급여의 수급을 원하는 때에는 지체하지 않고서도 자발적으로 이직확인서를 고용센터에다 송부를 하여 이러한 내용들을 고용센터에서 체할 수 있도록 조치를 하는것이죠.
일반적으로 실업급여 이직확인서는 퇴사를 한 후에 10일 이내 확인서를 회사에서 자발적으로 고용 센터에 보내주는 것이 보통입니다.
만약, 지키지 않는다면 과태료 처분에 처해지겠지만 10만 원 정도의 경미한 처벌이기 때문에 지키지 않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답니다.
이직확인서 유의해야 할 사항
- 허위로 작성 금지
허위로 작성되는 경우에는 1차 적발 시 1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며, 2차에는 200만 원 그리고 3차에는 3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부정 수급
허위 사실로 작성이 된 서류를 이용해 실업급여를 부정 수급하게 되는 경우에는 5년 이하의 징역 혹은 5,0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여됩니다.
- 발급 기간 초과
본 서류를 발급할 때 근로자 혹은 고용센터 측으로 요청을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제출을 하셔야 합니다.
10일 이내에 이 요구에 응하지 않은 경우에는 과태료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니 알아두시는 게 좋습니다.
이직확인서 발급 요청
10일 이내 고용센터로 관련 서류를 보내주지 않아 실업급여의 수급이 어려운 경우 직접 이직확인서 발급 요청서를 보내야 합니다.
간단하게 서식을 작성해서 기존에 다니던 직장에 제출하면 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니 서식은 어디에 있는건데요?"
서식은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자료실 기능을 통해서 아주 간단하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서식자료실에서 이직확인서 발급 요청서를 검색하시면 되는데요, 띄어쓰기를 해서 검색을 해야 찾아지는 경우도 있어요.
작성 시 '사업장 확인란'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외하시고 작성을 해주시면 됩니다.
사업주에서 처리한 후에 고용노동부로 직접 제출하는 부분이다 보니 본인이 직접 작성을 하실 필요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직확인서 발급 여부 확인은 어떻게
자, 이제 이직확인서를 발급 요청 하였지만 제대로 요청이 되었는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처리과정을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보통은 잘 처리가 되었다면 고용노동부에서 문자 혹은 알림톡 등으로 알려주는데, 이를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직접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신 후에 개인서비스에서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조회 서비스를 통해 간단하게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이직확인서 요청 방법과 잘 처리되었는지 알아보는 것도 알아 보았는데요,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잘 모르는 사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전경력 증명서 발급 신청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제일 간단하게 소개함 (0) | 2024.07.01 |
---|---|
국제운전면허증 온라인 발급 (인터넷, 경찰서) 제일 간단하게 알려드림 (0) | 2024.07.01 |
깡통전세 보증보험을 통해서 예방하세요 확인은 어떻게 해야할까? (0) | 2024.07.01 |
우체국 택배비 가격은 얼마일까? 간단하게 계산을 해보세요 (0) | 2024.06.30 |
해고 예고 수당 금액 계산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미지급하면 어떻게 (0) | 2024.06.29 |
주식 신용잔고 간단하게 보는 법 확인은 이렇게 해보세요 (0) | 2024.06.28 |
국민연금 배우자 사망시 남은 유족이 받을 수 있나요? 그렇다면 절차는 (0) | 2024.06.28 |
보이스피싱 계좌 지급정지 해제 가장 빠르게 푸는 방법 알려드림 (0) | 2024.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