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금, 잔금 비율

처음으로 아파트 매매 해보려는 사람들이 있을텐데요 이 때 중도금, 잔금 비율이 몇퍼센트 인지 궁금하실겁니다. 부동산 계약을 할 때에는 계약금과 중도금 그리고 잔금의 의미와 비율에 대해 꼭 알아주셔야 합니다.
부동산 거래를 하게 되면 계약금과 중도금 그리고 잔금 순서로 돈을 지급하게 되는데, 그럼 각 단계가 지니는 의미는 무엇이며 비율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도금 및 잔금 비율 확인하기
사실상 계약금과 중도금 그리고 잔금의 비율을 법률상 정해진 건 없으며, 당사자가 합의로 정할 수 있다고 합니다.
통상 계약금의 경우 대금의 10%로 하며, 중도금을 2차와 3차로 나눠 내는 경우도 있으며 이건 당사자들이 약정하기 나름입니다.
일반적으로 계약금은 10%, 중도금은 40%, 잔금은 50%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중도금과 잔금 기간

부동산 매매의 경우 통상 2개월의 기간을 잡는데요, 계약한 후 1개월은 중도금, 계약 후 2개월은 잔금이라고 하죠.
물론 계약기간은 매수자와 매도자의 협의 사항인데요, 계약 잔금을 1년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요, 이건 매수자나 매도자의 개인 사정이 있는 경우라고 합니다.
이사당일 잔금 처리할 때
이사 당일 잔금 처리할 때 대부분 이렇게 처리하고 있는 거 알고 계셨나요?
비율 % 무조건 기재 해야할까
계약서에 계약금과 중도금 그리고 잔금 표기 시 꼭 %로 기재해야 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게 금액 기준으로 끊다 보니깐 한 가지 예시로 애매하게 30.5241...% 이런식으로 나오는데, 이런 경우에는 그냥 계약금 얼마, 중도금 얼마 이렇게 기재해도 과연 문제가 없을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비율 % 없어도 문제 없다고 합니다. %보다는 금액이 중요하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중도금 및 잔금 비율 정할 때
만약 본인이 계약금, 중도금, 잔금 비율을 정할 수 있는 우위권을 가지고 있는 거래일 경우 계약금과 중도금의 부담을 최소화 하고, 상대방이 계약 취소하지 못하게 우위권을 가지고 싶어 계약금 10%, 중도금 5%, 잔금 85% 이런식으로 비율을 가져가려고 할 시 이렇게 해도 되는걸까요?
부동산 매매계약의 경우 당사자간 합의에 의한 계약서가 우선적으로 적용이 되기에 계약금, 중도금, 잔금 비율을 위와 같이 10%, 5%, 85% 이런식으로 비율을 가져가도 상관이 없다고 합니다.
비율 변경 하고 싶을 때
중도금과 잔금의 비율을 정했는데, 이 정한 비율을 조정하고 싶을 때에는 계약서 작성을 새로 하지 않고, 기록이 남을 수 있을만한 전화나 문자로 서로 협의 후 조정할 수 있을까요?
사실 이 부분 또한 서로 협의만 잘 된다면 충분히 가능한 부분이기에 상대방과 잘 협의하면 되는데요, 추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꼭 기록을 남겨 놓으시길 바랍니다.
▶중도금 및 잔금 비율 관련글
중도금, 잔금 비율 후기
지금까지 중도금, 잔금 비율에 대해 알아 보았는데요 위에서 말했다시피 중도금과 잔금의 비율은 상대방과의 협의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법률적으로 정해진 건 없다고 하니 상대방과 원만한 협의가 되시길 바랍니다.
'잘 모르는 사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약 당첨 후 자금조달 계획서 작성할 때 이것만 조심하자 (0) | 2022.12.06 |
---|---|
간판 비교견적 사이트 BEST 3 쓸데 없이 나가는 돈 줄이자 (0) | 2022.12.04 |
잔금을 못 치르면 이런 일까지 발생한다 (충격주의) (0) | 2022.12.04 |
간판 천갈이 크기나 비용 이정도나 된다고? (충격 주의) (0) | 2022.12.03 |
돌출간판 가격 제일 저렴하게 하면 얼마까지, 이거 모르면 과태료? (0) | 2022.12.03 |
전손처리 보험료와 수리했을 때 보험료 차이가 많이날까? (1) | 2022.12.03 |
상가인테리어견적 상담은 무료일까 아니면 유료일까? (충격주의) (0) | 2022.12.02 |
새 아파트 이사 잔금 치르는 방법 구체적으로 알아 보아요 (0) | 2022.12.02 |